2019. 6. 12. 04:37ㆍ지질학
6월 11일 경북 경주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11일 오후 11시 18분 53초쯤 경주 남남서쪽 9㎞ 지역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일어났다. 진앙은 북위 35.76도, 동경 129.19도다. 진원 깊이는 19㎞라고 합니다. 이 지진으로 경북 지역에서는 최대 진도 3의 진동이 감지됐다. 이는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느낄 수 있고 정지된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라고 합니다. 기상청은 “2016년 9월 12일 발생했던 규모 5.8 지진의 여진”이라며 “지진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습니다.
유독 경주 인근 지역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것은 크게 2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경주지역의 양산-덕천단층 손상설이라는 겁니다.
2017년 경주에서 열린 대한지질학회와 기상청 주최의 ‘9·12 지진 그리고 1년 워크숍’에서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경주 지진 여진이 끝났다고 단정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경주 지진의 여진은 2016년 이후, 총 634회가 발생했다. 여진이 끝나지 않은 건 경주 지진만이 아니다. 이날 워크숍은 경주 지진의 원인 분석을 둘러싼 지진·지질학계의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첫 번째 주장은 ‘양산-덕천 단층 연결 손상대 파열 원인설’입니다. 경주 지진이 양산단층과 그 가지 단층인 덕천 단층 사이의 단층 손상대 안에 발달하는 부수 단층이 활동해 발생했다는 가설을 내놓았다.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김영석 교수는 “양쪽에 주 단층이 있으면 사이에 작은 단층들이 생기고 단층이 활동할 때 생기는 손상대가 존재하게 된다. 주 단층을 잇는 여러 연결대 가운데 하나가 깨진 것이다. 땅속 깊이 들어가면 덕천 단층과 양산단층이 만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경주 지진의 전진과 여진이 두 단층 연결부에 주로 분포한다는 사실과 경주 지진 진앙의 지표 부근을 조사한 결과, 라이다 원격탐사 및 물리탐사 등의 결과를 종합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두 번째는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는 주장입니다.
부경대 지구환경학과 홍태경 교수는 경주 지진이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발생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홍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은 거리가 1500㎞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지만 한반도 여러 곳에 강한 지진동을 만들어냈다. 한반도에서 그동안 지진이 자주 발생했던 곳들을 중심으로 하루 동안 작은 지진들이 다수 발생한 것이 관측됐다. 또 한반도가 울릉도에서는 5㎝, 백령도에서는 2㎝, 전체적으로 3㎝가량이 일본 쪽으로 끌려갔다”며 “경주 지진은 동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한반도의 지반이 약해져 발생한 여러 현상의 하나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은 이제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아직 두 가지 이론의 대한 논쟁은 계속되지만,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도 이제 지진에 있어, 예외국가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또한, 일본의 지진과 같은 영향이 보이지 않으나,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이는 기상청이 지난해 발간한 2018년 지진 연보에서도 알 수 있는데요. 기상청은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분석 결과를 담은 '2018 지진 연보'에서 2017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은 총 115회로, 이는 디지털 지진계로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67.6회의 약 1.7배다라면서, 대한민국도 이제 지진 안전 국가 아님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이라도 경주의 사례를 바탕으로, 지진대피 교육 강화, 건물의 안전진단 강화, 내진설계 건축 등을 강하게 시행해서, 만일의 사태를 대비했으면 합니다.
[자료출처-매일경제신문, 한겨레신문]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리학과 지질학의 정의와 구분 (0) | 2020.03.10 |
---|---|
지진의 측정원리와 측정방법 (0) | 2020.03.10 |
지진과 내진건축 (0) | 2020.03.08 |
지진의 원인과 실험 방법 (0) | 2020.03.08 |
천둥번개가 칠때, 자동차안에 있으면 안전할까? 유형별 피해예방법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