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N] 영화 '장산범'은 실화? 영화배경이 된 도시괴담은?

2019. 6. 17. 01:51영화리뷰

6월 17일 월요일 오후 2시 50분 영화 '장산범'이 OCN에서 방영될 예정입니다. 극장 상영 전부터 '장산범'은 부산에서부터 떠도는 도시괴담이었는데요. 실제 인터넷상에서는 이것이 실화냐 아니야라는 논란도 있었습니다. '장산범'의 배경이 된 도시괴담과 허정 감독이 말한 '장산범'과 영향을 준 도시괴담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장산범' 괴담 배경

인터넷 도시전설을 통해 만들어진 대형 고양이과 괴생명체. 특이한 점은 이런 류의 요괴 전설들이 대부분 전근대 시대에 만들어졌던 것과 달리  21세기에 태어난 따끈따끈한 신생요괴다. 그 이름은 부산광역시 장산  소백산맥 일대에서 나타난다고 해서 "장산범"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처음 이슈가 된 것은 잠밤기라는 사이트에서 미확인 생명체라는 이름으로 투고된 다른 투고자의 글 두 개를 비슷한 소재로 판단되어 같이 묶어서 게시하면서부터였다. 그렇게 큰 이슈는 되지 않았으나 유사한 목격 사례가 동시에 올라오면서 주목을 받았고, 몇몇 목격 사례가 올라오면서 스레딕 오컬트판에서 목격사례를 수집하면서 스레가 흥하기 시작해 40건에 가까운 제보와 추측성 토론이 벌어진 적이 있다.

 

도시괴담을 다룬 영화 '장산범' (출처-매일경제, NEW) 

2. '장산범'의 특징

장산범의 모습은 여러 매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인 외형은 《진홍색의 피부》, 《비단같이 곱고 긴 털》, 《기본적인 호랑이의 골격》, 특히 이 가장 큰 특징인데 여성의 머릿결 같은 아름답고 고운 백발의 긴털이 일종의 환각을 일으켜 사람의 경계심을 없앤다고 한다. 때문에 분명 모습은 호랑이인데 사람으로 인식하게 된다고, 거기다 울음소리가 매우 기묘한데 칠판이나 쇠를 긁는 소리를 비롯해 물 흐르는 소리, 빗소리, 바람소리 등의 여러 가지 자연의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생물의 목소리 역시 정확히 묘사하는 재주가 있다고 한다. 호랑지빠귀, 개, 소, 고양이, 호랑이, 늑대, 여우, 양, 늙은이와 어린이, 사람의 비명, 올빼미, 부엉이, 소쩍새, 맹금류, 까마귀 등의 소리와 심지어 죽은 이의 목소리까지 한 번 들으면 흉내 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말이 있다. 요약하자면 희고 긴 털을 가진 호랑이 요괴로 환각과 성대모사 능력을 가졌다.  이야기에 따라 백발의 긴털 속에 호랑이의 줄무늬 또는 빽빽하고 수북하게 자라있는 날카롭고 예리하며 뾰족한 데다 단단하고 딱딱한 털뿔들이 숨겨져 있다는 묘사도 있다. 눈은 마치 자동차의 불빛처럼 안광이 빛난다고 하며, 잡식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산범이 출현하면 개와 고양이들 우는 소리가 매우 심해진다고 하며, 성격은 사납고 거칠며 공격적이고 흉폭하다. 바람이 심하게 불지 않지만 물기 어린 서늘한 바람이 잔잔하게 계속 불며, 이상하게 밤새들과 벌레들이 울지않고, 달이 있으나 달빛이 밝지 않으며 하늘이 흐려 공기가 무겁게 가라앉은 매우 조용한 밤에 출현한다고 하는데 특히 비 오는 날을 선호 한다고 한다.  차달리는 속도와 맞먹을 정도로 굉장히 놀라울 정도의 매우 빠른 속도를 낸다고 하며, 못 지나가는 지형이 거의 없다고 전해진다. 또 끈질기고 집요한 특성이 있어 한번 노린 인간은 절대로 놓치지 않지만 사람이 많은 걸 꺼린다고 한다.

'장산범' 상상이미지 (출처-Twitter)

 

3. 실화일 가능성

부산 지역의 민담을 채록해 부산광역시청에서 발간한 보고서에서는 일체 이러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민속학계 교수들의 반응은 한결같이 과거사에 존재하지 않는 현대의 도시전설이란 반응. 1984년 통문관에서 발행된 민속학자 최상수 교수가 쓴 "한국민간전설집"의 모든 경상도 민간 전설 목록을 뒤져봐도 장산범에 대한 전설은 없다. 이 책은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로서 50년간 북한을 포함한 8도의 모든 전설을 직접 채집, 분류, 연구한 민속학 교수의 저서이며, 일제시대부터 80년대 중반까지의 거의 모든 민간 전설을 총람한 책이니만큼, 이 책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면 적어도 1984년도 이전에는 이런 전설은 없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후술 할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장산범 전설을 취재해보았지만 부산 지역의 민속학자들도, 해운대구 주민들도 금시초문이라는 반응뿐. 이 괴생물체가 주로 나타난다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에는 대한민국 육군 53사단 사령부 연대 그리고 정상에는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 기지가 주둔 중이며 국군부산병원도 있다. 해당 부대 장병들 사이에서도 아무런 목격담이 없는 데다가 괴생물체가 있어봤자 지뢰 밟고 오래 전에 죽었기 십상이다. 90년대 초반까지 장산에는 무장공비 및 후방으로 침투할 북한 특작부대를 막기 위해서 지뢰가 상당히 깔려있었다. 98년도 무렵부터 신도시 조성 등으로 대대적으로 지뢰가 제거되고 등산로가 개척되기 전까진 입산이 제한되는 지뢰밭이었다. 당장 뉴스를 검색해보면 2014년도까지도 산 정상부는 말 그대로 지뢰밭이어서 여전히 지뢰 제거 작업 중이다. 지뢰가 많이 제거된 현재 장산은 등산객들도 꽤 많은 데다 장산 바로 아래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어서 인근 주민들이 산책도 할 만큼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산이다. 등산객들에게 포착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없다. 실화가 아닌, 인터넷발 도시괴담이다라는 결론.

'장산범'의 출물한다는 괴담의 장소, 부산 장산 (출처-네이버지도)

 

4. 영화 '장산범' 감독이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3가지 이야기

하나. ‘아빠 괴담'

“아빠, 밖에서 아빠 목소리가 들려” 허정 감독을 매료시킨 첫 번째 이야기는 바로 ‘아빠 괴담’이었다. 아빠 목소리에 잠에서 깬 아이가 아빠와 대화를 나누다 다시 잠들었는데, 사실 아빠는 다른 방에 있었다는 내용의 괴담이다. 허정 감독은 이처럼 가장 든든한 존재인 동시에 익숙한 목소리인 아버지의 목소리가 알고 보니 다른 존재가 흉내 내는 목소리였다는 것에 집중, 영화의 캐릭터를 구축하게 됐다.

 

돌. 전래동화 ‘해님 달님’,

“얘들아, 엄마가 왔단다. 어서 문 열어 주렴” 전래동화 ‘해님 달님’에서는 호랑이가 오누이의 엄마의 목소리를 흉내 내 오누이를 홀리는 장면이 그려진다. 목소리를 흉내 내서 사람을 홀리는 동화 속 호랑이의 모습은 ‘장산범’과 많이 닮아있다. 특히 영화 ‘장산범’에선 극 중 ‘희연’이 ‘해님 달님’ 이야기를 직접 언급하는 장면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장산범’은 어릴 적 누구나 한 번쯤 접해봤을 전래동화를 빌려 관객들에게 극강의 두려움과 긴장감을 선사한다.

 

셋. 에드거 앨런 포의 소설 ‘검은 고양이’.

“벽 속에서 들리는 고양이 울음소리” 영화 ‘장산범’의 가장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인 동굴 이미지는 에드거 앨런 포의 소설 ‘검은 고양이’에서 착안했다. 아내의 시체를 벽 안에 유기하고 완벽한 범죄를 꿈꾼 남편의 끔찍한 악행이 검은 고양이의 울음소리 때문에 드러난다는 소설의 설정은 영화에서는 첫 번째로 실종되어 동굴에 갇히는 강아지로 차용되어 관객들에게 긴장감을 더한다. 허정 감독은 “어릴 적부터 벽 안에서 고양이 소리가 들렸을 때의 그 공포에 사로잡혔었다”라며 소설 ‘검은 고양이’의 팬임을 밝히기도 했다.